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비안(RIVN), 전기차 시장의 파타고니아

by super304 2025. 2. 3.

1. 기업 개요 

2017년 7월 테슬라의 모델 3의 판매를 기점으로 폭발하기 시작한 전기차 시장이 최근 정체기에 들어섰다는 기사들이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조금 축소, 배터리 화재에 대한 우려, 내연기관에 비해 비싼 차량가격 등 소비자들의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여건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배터리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가격 경쟁력이 확보된다면 내연기관의 전동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보여집니다. 

 

기존 자동차 브랜드 BMW, 벤츠, 캐딜락, 포르쉐, GM, 포드, 아우디, 폭스바겐, 현대, 볼보부터 신생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BYD, 리비안, 루시드, 폴스타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10년 이내에 이 치열한 전쟁터에서 분명 옥석가리기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시장에서 과연 리비안은 살아남을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리비안은 2009년 미국 미시간주 플리머스에서 RJ 스카린지(RJ Scaringe)에 의해 설립된 전기차 제조 기업으로,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리비안의 초기 목표는 고성능 전기 스포츠카를 만드는 것이었지만, 전기차 시장의 트렌드와 소비자 수요를 분석한 결과, 보다 실용적인 전기 픽업트럭과 SUV 개발이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리비안은 '어드벤처를 위한 전기차'라는 브랜드 가치를 내세우며, 오프로드 주행 성능과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차량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는 테슬라(Tesla)와의 차별점을 강조하는 전략이기도 합니다.

2. 주력 차량

리비안의 대표적인 차량은 전기 픽업트럭 R1T와 전기 SUV R1S입니다. 현재 미국에서만 판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차량 가격은 R1S 기준으로 $75,900 ~ $ 105,900 달러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간결하지만 유니크한 디자인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대범하게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LED와 세로방향의 전조등 단단해 보이는 외관은 굉장히 매력적입니다. 디자인적으로는 멋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미국의 픽업트럭들은 투박하고 거친 이미지였다면 리비안은 픽업트럭의 기능과 실용성은 살리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 R1T 픽업트럭
    • 400마일(약 640km) 이상의 주행거리 제공
    • 강력한 사륜구동 시스템과 4개의 개별 모터 적용 (Quad-Motor 시스템)
    •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된 설계와 높은 견인력
    • 다목적 차량으로 활용 가능(캠핑 및 아웃도어 활동 최적화)
  • R1S SUV
    • R1T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UV 모델
    • 7인승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제공
    • 오프로드 및 도심 주행을 위한 다재다능한 기능 탑재
    •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과 강력한 주행 성능

리비안은 오프로드에 포커스를 맞춘 차량으로 우수한 오프로드 주행 성능을 제공하며, 이는 테슬라의 도심형 전기차와 차별화되는 점입니다. 또한, 리비안은 배터리 기술과 자율주행 기술에도 집중하며, OTA(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지속적인 차량 개선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2026년 출시예정인 R2, R3차량도 개발중에 있습니다. 

3. 생산능력의 확보와 당면 과제

리비안(Rivian)은 현재 미국 일리노이주 노멀(Normal)에 위치한 공장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공장은 원래 미쓰비시 자동차의 공장을 인수하여 개조한 시설로 리비안의 주요 생산 거점입니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하여 대량 생산 체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리비안은 이 일리노이 공장에서 연간 약 5만 7천 대의 차량을 생산하였습니다. 향후 조지아주에도 새로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생산 속도 및 공급망 문제
    • 반도체 및 배터리 공급망 이슈로 인해 초기 생산에 어려움을 겪음
    • 생산 공정 자동화 및 부품 조달 전략 개선을 통해 해결 시도
  • 경쟁 심화
    • 테슬라, 포드, GM 등 기존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전기 픽업트럭 및 SUV 시장 진입
    • 차별화된 오프로드 성능과 독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시장 내 포지셔닝 강화
  • 재무적 안정성 확보
    • 초기 단계에서 막대한 연구 개발 비용과 생산시설 투자로 인해 수익성 부족
    • 차량 판매 및 상업용 차량 공급 계약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 계획

4. 리비안만의 강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극복해야할 과제들이 많은 것은 분명하지만 리비안은 전기차 시장에서의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해나가고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특히 오프로드 전기차를 이미지를 잘 구축하고 있습니다. 리비안의 공식홈페이지는 마치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의 분위기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차량 옵션으로 요리기구, 텐트가 있고 다양한 굿즈에는 의류, 캠핑용품을 팔고 있습니다. 리비안은 오프로드 전기차라는 자신만의 스토리를 출시초반부터 확실히 전개하고 있어 테슬라 이후 가장 충성도 높은 팬층을 보유한 전기차 브랜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팬덤이 생기면 사지말라고해도 알아서 구매하는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처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옷의 질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브랜드의 차이는 어마어마합니다. 전기차도 분명 기술적 격차는 좁아질 것이고 상향평준화 되어 갈 것입니다. 하지만 브랜드 파워는 분명한 양극화를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리비안이 지금처럼 아웃도어, 오프라인, 자연을 사랑하고 즐기는 이미지가 더 자리 잡는다면 리비안의 미래는 분명히 긍정적일 것입니다. 

5. 테슬라의 충전 방식인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채택

강력한 차별화 전략속에서 경쟁회사인 테슬라의 충전 방식인 NACS(North American Charging Standard)를 채택하기로 했습니다. 효율적이고 필요하다면 경쟁사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유연성을 보여주고 있어 이점이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1) 테슬라 슈퍼차저 네트워크 접근 가능

  • 리비안이 NACS 포트를 채택하면서 테슬라의 광범위한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됨.
  • 현재 북미에서 가장 촘촘한 고속 충전망을 보유한 회사가 테슬라야. (미국 내 17,000개 이상 충전기 운영)
  • 리비안의 기존 충전 네트워크(Adventure Network)는 아직 충분히 확장되지 않아서, 슈퍼차저 접근이 큰 이점이 됨.

2)  충전 인프라 문제 해결

  • 리비안은 오프로드 및 장거리 주행이 많은 픽업/SUV 차량이 주요 제품이야.
  • 그러나 북미의 CCS(Combined Charging System) 충전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고, 신뢰성이 낮음(고장률이 높음).
  • 테슬라 충전기는 신뢰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잘 되어 있음, 따라서 리비안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충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3)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NACS로 전환

  • 포드, GM, 현대, 혼다, 메르세데스 등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이 NACS 채택을 발표.
  • 북미에서 사실상 테슬라의 충전 방식(NACS)이 표준이 되어가는 상황.
  • 리비안도 시장 흐름을 따라야 했고, 뒤처지지 않기 위해 NACS를 채택한 것.

4) 고객 편의성 향상

  • 기존 리비안 사용자는 CCS 포트를 사용했는데, NACS 전환으로 추가 어댑터 없이 더 많은 충전소에서 충전 가능.
  • 장거리 여행 시 충전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5) 비용 절감 및 충전 네트워크 확장 부담 감소

  • 리비안은 자체 충전 네트워크(Rivian Adventure Network)를 구축하고 있었지만, 전국적인 충전 인프라 구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듦.
  • 테슬라 충전소를 활용하면 자체 충전 네트워크에 대한 투자 부담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결론: 리비안의 차별점

  1. 프리미엄 전기 픽업/SUV 시장 선점 (경쟁사보다 빠른 출시)
  2. 독자적인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유연한 차량 확장 가능)
  3. 강력한 오프로드 성능 (Quad-Motor, 토크 벡터링 등)
  4. 딜러 없는 직접 판매 모델 (가격 경쟁력 확보)
  5.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설계 (OTA 업데이트 강점)
  6. 탄탄한 투자 및 충성도 높은 브랜드 팬층

사진출처 : https://rivian.com/